비혈관용 생체분해 기간 제어형 섬유 스텐트
비혈관계(담도, 소화관, 식도, 누관, 요관, 요도 등)의 협착부위에 삽입되어 이들의 개통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섬유 의료기기로써 기존 금속 스텐트와 같이 2차 시술에 의한 제거과정이 필요 없고 인체 적용부위에 맞게 생체분해 기간을 제어할 수 있는 섬유 스텐트
특성
- 생체분해 기간이 상이한 2종 고분자 sheath-core형 모노필라멘트 사용
- 팽창력, 유연성, 굴곡 자유도가 뛰어난 비혈관용 섬유 스텐트
- 금속 스텐트와 같이 2차 제거 수술이 필요 없음
- 인체 적용부위에 맞게 생체분해기간을 제어할 수 있음
- 생체기능화(약물 탑재)를 통해 항균 & 항섬유화 기능부여 가능
생체분해 기간 제어형 sheath-core 모노필라멘트 모식도 및 단면 이미지

사양 및 물성
사양
- 면 적 비 : sheath 8, core 2
- 직경크기 : 평균 0.32mm
- 단 면 : 8분할 오렌지형
용도
- 주름개선용 삽입형 섬유
- 봉합사 등 각종 생체분해 수술용 섬유
- 기존 비분해성 대체 조직협착 방지용 미세도관
- 장기 등 비혈관 협착 치료용 섬유 스텐트
물성
섬도(De) |
인장강도(g/d) |
생체분해기간(월) |
900 |
2.4 |
3개월 이상 |
제직 변부 폐기물을 재활용한 부직포 원료 제품화
제직 변부 폐기물을 재활용한 부직포 원료 제품화
특성
- 화학적 재생이 아닌 간단한 물리적 재생으로 부직포 제품화가 가능
- 재생된 단섬유 원료는 원사, 부직포 원료, 충진재로 적용이 가능
- 기존 재생기술에 비해 에너지 비용 절감이 가능한 친환경 재생 공
제직 변부 폐기물의 부직포 제품화 공정 Process

사양 및 물성
사양 및 물성
구분 |
목표치 |
재생부직포-1 |
재생부직포-2 |
섬도(De) |
3~10 |
5.2 |
3.8 |
혼용률(%) |
99 |
99 |
82 |
인열강도(길이/폭)(kgf) |
12/14 |
10/13 |
11/12 |
인장강도(길이/폭)(kg/5cm) |
100/80 |
81/86 |
78/83 |
용도
- 충진재, 솜, 방적사 원료
- 자동차용 섬유제품(매트, 흡음단열재)
- 산업용(보온재, 단열재, 층간소음 매트, 펠트류)